노동 단상

2014. 8. 31. 00:10
1.'매체'라고 하면 흔히 종합지나 경제지를 떠올리겠지만, 세상에는 이 밖에도 대단히 세분화된 특정 분야만을 다루는 전문지가 있다. 말이 좋아 전문지지 중요도 평가에서 밀려났으나 누군가는 기사화해주길 기다리고 있는 사소한 기업 단신을 다루면서 업체 대상으로 광고 협박을 일삼으며 근근이 명맥을 이어가는 곳들이라고 보면 크게 틀리지 않는다. 출범의 변도 하나같이 비슷하다. "그 동안 OOO를 다루는 매체는 많았지만 XXX를 이야기하는 매체는 없었고 독자는 이에 갈증을 느껴왔습니다. 그래서 우리 □□□가 오늘부로..."가 요지인데 이런 걸 볼 때마다 나는 너무 괴로워서 '아아, 그러지 않아도 된다. 너희가 그런 역할을 맡지 않아도 돼. 실은 갈증도 없었다. 조선일보 하나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너희는 대체... 아아, 그만' 하고 손을 내젓게 되지만 매달 이런 게 몇 개씩 생겨난다. 

이런 매체에 근무하는 기자들과 접촉할 때마다 느끼는 건, 제 자신도 뚜렷한 이유를 알지 못할 게 분명한 정체 모를 분노와 억울함을 동력 삼아 움직인다는 것이다. 말할 때는 사람을 똑바로 바라보지도 못하고 흘끗거리며 눈치를 보고, 문장 말미를 제대로 맺지 않고 뭉갠다. 혹은 정반대로 소화도 못하면서 과하게 거만한 '컨셉'을 잡고는 무례하게 군다. 조중동을 미워하는 여러분이 잊지 말아야 할 사실 하나는,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정치적 성향이나 도덕적 결벽, 각종 미추 판단을 중대한 요소로 고려할 수 있을 만한 여유를 갖춘 개인은 극소수이며, 거대 조직의 인사 시스템이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것이다. 소속처에 따라 그/그녀의 도덕성을 판단하거나, 분명한 목적과 의지에 따라 움직였으리라 판단하는 건 불필요하다. 당신은 여차저차하다보니 지금 있는 곳으로 흘러왔으면서, 왜 남은 확고한 무언가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나. 

내 쪽에선 아무 짓도 하지 않았는데 당신이 지금 나를 무시하는 거냐고 드러눕는 경우도 적지 않게 봤다. 대부분은 이런 치들이 자긍심이 부족하다 보겠지만 난 오히려 자신을 지나치게 높게 평가한다고 본다. 갑자기 말을 할 수 있게 된 놀래기나 황새치가 나더러 저를 무시하느냐 윽박지르는 것 같기 때문이다. '내가 당신이라는 존재를 '인지'하고, 무시라는 '조치'를 취할 정도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그런 위치까지 오르려면 적지 않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대답해주고 싶지만 이렇게 정신이 건강하지 않은 사람들을 잘못 건드렸다가는 정말 일이 커지기 때문에 웬만하면 어르고 받아주지만 덕분에 버릇은 더 나빠진다. 어떤 쪽으로 움직여도 악순환이다. 미팅이 잡히면 시간 약속을 절대 지키지 않는다는 것도 특징이다. 조중동 차부장급 기자들도 시간 약속을 어기지 않건만 웬 녹색 환경 어쩌고 하는 인터넷 매체가 40분을 늦는다.

2. 새벽에 출근해 잡무를 처리할 아르바이트생들은 지금까지 여럿 뽑아봤지만 과장을 달고 나니 나도 정직원을 채용하기 위한 실무진 면접이란 데에 면접관으로 불려들어가고 있다. 신입이나 경력직 면접은 짬이 안되고 인턴 면접에만 참석한다. 그래서 한동안 내 오전 일과 중 하나는 졸업을 앞두고 있거나, 사실상 졸업을 해야 했지만 취업 문제로 졸업 유예 상태인 대학생들을 만나 비슷한 질문을 던지는 것이었다. 내가 다음 전형 단계로 넘어가도 좋을 지원자라고 의견을 제출해봤자 그들에게는 지난하게도 긴 전형들이 뒤이어 기다리고 있지만 어쨌거나 첫 직장을 찾고 있는 구직자들의 당락을 좌우하게 된 것이다. 

이력서를 보면 교환학생 한 번 안 다녀온 애가 없고 영어점수야 당연히 나보다 높고, 하나같이 학생회나 동아리에서 요직을 맡아 왔으며, 질문을 던져보면 회사나 업계에 대해서도 많은 조사를 거쳤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나는 대학교 때 논 기억밖에 없는데 과연 이천십몇 년의 한국은 과거의 나만치 태만하게 살아도 되는 곳이 아니다. 20년만 일찍 태어났어도 가고 싶은 회사를 골라 갔을 테지만, 이제는 나를 인터뷰어로 두고 열심히 자신을 어필해야 하는 그들만 봐도 상황이라는 것은 예상을 훨씬 뛰어넘을 정도로 나빠지곤 한다는 걸 깨닫게 된다. 면접을 보면서 깔깔 웃을 일도 정말 많았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괴로웠다. 안쓰러울 정도로 애를 쓰며 살아온 애들인데 심지어 거의 모두를 떨어뜨려야 하고, 구직자의 절대다수는 이들보다 이력서가 성실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누가 이들에게 적절한 기회와 보수를 줄 것인가.

3. 파릇파릇한 아이들을 딱히 여기기엔 내 코가 석 자긴 하다. 앓는 소리 내기 싫지만 하여간에 피로하다. 서른일곱 먹은 과장 하나가 얼마 전 교대를 목표로 다시 수능을 친다고 사표를 냈다. 회사에는 마흔 이후 자기 자리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선생은 마흔 넘어 시작해도 20년은 할 수 있지 않으냐 했다. 학교를 갓 떠나온 아이들을 받아주는 곳이 없듯이, 간신히 직장생활을 이어오던 사람들은 앞길이 막막해 학교로 돌아가는 게 흔한 패턴 같다. 주위를 보면 회사에 다니다 교대를 가거나, 회사에 다니다 로스쿨을 가거나, 회사에 다니다 공무원을 준비하는 게 무슨 필연적인 결론인 것처럼 여겨질 지경인데, 물론 그 길이라고 비좁고 팍팍하지 않을 리 없다. 친구 하나는 "내가 뭐 얼마나 많이 바라기나 했으면."이라고 말로 막막한 상황을 간결하게 요약해냈다. 세파에 시달리고, 번뇌는 별빛조차 아닌 게 인생이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email
AND